Architecture 2

[MSA] 클린 아키텍처와 헥사고날 아키텍처

세미나 발표 요약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MKfSLrwLex8발표자 : AWS 개발자https://www.linkedin.com/in/haandol/ 인프라를 추상화시켜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아키텍처 중 가장 잘 만들어진 개념이 클린 아키텍처 계열 Adapters라는 추상화 계층(Interface)를 넣어서 의존성을 역전시켜주면 인프라를 수정해도 비즈니스 로직을 수정하지 않아도 된다Use Cases 추상화 계층을 한 개 더 만들어서 Use Cases로만 비즈니스 로직을 제어한다잘 보면 사진의 가운데 왼쪽부분 의존성의 화살표가 외부->내부 로만 향해있음. 쉽게 말해 import 자체를 외부->내부만 가능함발표자는 헥사고날 아키텍처가 클린 아키텍처에 비해..

Architecture/MSA 2025.03.27

[DDD] 우아콘 DDD 컨퍼런스 요약

WOOWACON 2024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sLG5n_pXWK0 그린필드 상태에서 DDD를 도입할 때Msa를 도입하면서 성급하게 서비스를 분리하면 서비스간 결합도가 높아진다 = 서비스간 통신이 많아진다올바른 바운디드 컨텍스트를 찾는게 중요하다빈약한 도메인 모델 = getter/setter만 존재풍부한 도메인 모델 = 여러 기능이 생김도메인 모델에 비즈니스 로직을 풍부하게 만드는게 DDD의 철학이다.트랜잭션 스크립트 패턴비즈니스 로직을 도메인 모델에 넣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@Service 클래스에 넣게 되는데, 이를 트랜잭션 스크립트 패턴이라고 한다트랜잭션 스크립트 패턴은 이름 그대로 하나의 요청(트랜잭션)을 처리하는 스크립트처럼 작성하는 구조. 순차적 흐름이 강..

Architecture/DDD 2025.03.26